검색 결과가 존재하지 않습니다. |
검색 결과가 존재하지 않습니다. |
Q. | ★ 의무수의사관 후보생들이 많이하는 질문 ★ | |
---|---|---|
A. |
1. 역종이란 무엇인가요? 1. 신체검사 등급 4급이 나왔는데 보충역으로 가나요? 2. 역종(현역과 보충역) 분류 결과는 어떻게 확인 할 수 있나요? 3. 역종(현역과 보충역) 분류는 어디서 주관하며, 후보생이 참관할 수 있나요? 4. 역종(현역과 보충역) 분류는 어떻게 하나요? 5. 역종(현역과 보충역) 분류시 질병 또는 개인적인 사정은 고려되지 않는지요? 7. 입영 후 군사교육 중 귀가 및 질병 등의 사유로 퇴교 시 어떻게 되나요? 8. 초임인 군의관이 수술집중병원(수도,대전,양주)에서 군 복무를 시작할 수 있나요? * 면접심의는 1차 서류전형 합격자를 대상으로 입대 후 주말기간을 활용하여 학생군사학교에서 실시합니다. 9. 현역으로 분류된 의무장교가 입영 연 기시 어떻게 되나요? - 의무장교지원자 : 다음 년도에 재분류됩니다. 10. 현역지원신청서 미 제출시 모두 보충역으로 분류되나요? 11. 현역지원신청서 제출시 현역으로 가나요? |
|
Q. | ★'23년 나의정보관련서류와 역종분류(전산분류) 후 증빙서류 관련★ | |
A. |
♣ 문의사항이 많이 있는 내용을 업로드 하도록 하겠습니다. 1. 2월 23일 역종분류시 필요한 내용은 이름, 핸드폰, 관할 병무청, 현역우선지원, 일반의 or 전문의로 잘 입력이 되어 있는지 확인해주시면 됩니다. * 전문의 시험 합격 여부는 국방부에서 확인하여 직접 반영하오니, 확인 및 수정 대상이 아닙니다. 2. 역종 전산분류 결과 현역으로 분류된 장교 후보생님들께서는 초임 계급 및 호봉산정을 위한 증빙서류 제출은 꼭 해주셔야합니다, - 관련 세부사항은 공지사항을 확인하시면 됩니다. -문의처 : 국군의무학교 인사행정/동원담당 (☎ 042-878-4336) |
|
Q. | 신체검사 등급 4급이 나왔는데 보충역으로 가는지요? | |
A. |
현역 군 소요 인원보다 대상자(신체검사 1~3급 인원)가 부족한 경우, 부족한 인원을 신체검사 4급 인원에서 무작위 전산분류로 충원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현역으로 분류될 수도 있습니다. |
|
Q. | 역종(현역과 보충역) 분류 결과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요? | |
A. |
역종(현역과 보충역) 분류 결과는 개별적으로 문자 발송 또는 현 시스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단, 개별 문자는 현 시스템에 입력된 전화번호로 발송됩니다. |
|
Q. | 역종(현역과 보충역) 분류는 어디서 주관하며, 후보생이 참관할 수 있는지요? | |
A. |
역종분류는 국군의무사령관이 주관하며, 공정성과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해 의무·수의사관후보생의 입회 하에 진행됩니다. 의무·수의사관후보생 대표(7~10명)는 추천(신청)을 통해 구성되며, 전산분류 시 난수생성에 참여합니다. 역종분류 절차 참관은 신청할 수 있으며, 참관 시 현장에서 본인에 한해 역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|
|
Q. | 역종(현역과 보충역) 분류는 어떻게 하나요? | |
A. |
신체등급이 1 ~ 3급 해당인원 중 신분별, 특기별로 현역 군 소요를 먼저 충원하며, 초과 인원은 보충역으로 분류합니다. 역종분류는 신체등급이 1 ~ 3급 해당인원 중에서 난수추첨(무작위 전산분류)을 통해 현역을 선발하고, 현역 군소요 인원보다 대상 인원(신체등급 1~3급 해당인원)이 부족한 경우 신체등급 4급 인원에서 무작위 전산분류로 현역을 충원합니다. |
|
Q. | 역종(현역과 보충역) 분류시 질병 또는 개인적인 사정은 고려되지 않는지요? | |
A. |
역종(현역과 보충역) 분류 절차에 따라 현역과 보충역으로 분류되며, 그 외의 사항은 고려되지 않습니다. |
|
Q. | 역종이란 무엇인가요? | |
A. |
??역종이란, 현역과 보충역을 뜻합니다. 현역은 육군, 해군, 공군으로 구분되며, 보충역은 공중보건의(공중방역수의사), 병역판정의사, 전문연구요원으로 구분됩니다. |
|
Q. | 입영 후 군사교육 중 귀가 및 질병 등의 사유로 퇴교 시 어떻게 되나요? | |
A. |
입영 연기자와 동일하게 다음 년도에 입영 대상인 경우 최초 선발 결과에 따라 현역으로 분류됩니다. 이때 군분류는 최초 결과와 달라질 수 있습니다. |
|
Q. | 초임인 군의관이 수술집중병원(수도,대전,양주)에서 군 복무를 시작할 수 있는지요? | |
A. |
수술집중병원(수도,대전,양주)은 군의관 선발병원으로 전역 등의 사유로 발생한 공석은 선발절차를 통해 보충합니다.
군 중견의요원(전임의) 및 전문의를 대상으로 1차 서류전형, 2차 면접심의를 통해 최종 선발합니다. * 면접심의는 1차 서류전형 합격자를 대상으로 입대 후 주말기간을 활용하여 학생군사학교에서 실시합니다. ('20년 면접심의는 3월 하순 경에 진행될 예정입니다.)
|
|
Q. | 현역으로 분류된 후보생이 입영 연기시 어떻게 되나요? | |
A. |
다음 년도 입영 대상인 경우 전년도 선발결과(현역 분류)에 따라 현역으로 분류됩니다. |
|
Q. | 현역지원신청서 미 제출시 모두 보충역으로 분류되나요? | |
A. |
역종(현역과 보충역) 분류 결과에 따라 현역과 보충역으로 분류됩니다. |
|
Q. | 현역지원신청서 제출시 현역으로 가는지요? | |
A. |
신청 대상은 신체등급 1~3급으로, 현역복무를 희망하여 현역지원신청시 우선하여 현역으로 분류하며, 신청서는 군 장교 복무 희망자만 제출합니다. |